설날은 온 가족이 모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덕담을 나누며 한 해의 복을 기원하는 소중한 명절입니다. 하지만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차례상 차림부터 현대적인 간소화 방법, 차례 지내는 순서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1. 설날 차례 의미와 유래는?
설날 차례는 조상에게 새해 첫 아침 식사를 대접하는 의식입니다. 조상의 은덕을 기리고 가족의 화합을 다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.
- 설날의 의미: 설날은 음력 정월 초하루로, 새로운 시작을 의미합니다. 가족과 친척들이 모여 함께 떡국을 먹고 덕담을 나누며 한 해의 복을 기원합니다.
- 차례의 의미: 차례는 조상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, 가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의식입니다.
2. 전통적인 설날 차례상 차림 방법은?
전통적인 차례상은 5열로 음식을 배치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. 각 열마다 놓이는 음식의 종류와 의미가 정해져 있습니다.
- 1열: 식사 (반서갱동): 밥(메) 대신 떡국을 올리고, 시접(수저와 젓가락을 담는 그릇)과 잔반(술잔과 받침대)을 놓습니다. 밥은 서쪽, 국은 동쪽에 놓는 ‘반서갱동’의 원칙을 따릅니다.
- 2열: 주요 반찬 (어동육서, 두동미서): 구이, 전 등 주요 반찬을 놓습니다. 생선은 동쪽, 고기는 서쪽에 놓는 ‘어동육서’와 생선 머리는 동쪽, 꼬리는 서쪽에 놓는 ‘두동미서’의 원칙을 따릅니다.
- 3열: 탕 (탕 종류 확인): 탕 종류를 놓습니다. 보통 육탕(고기탕), 어탕(생선탕), 소탕(두부, 채소탕) 등을 올립니다.
- 4열: 부가적인 반찬 (좌포우혜): 좌측에는 포(북어포, 오징어포 등), 우측에는 식혜를 놓습니다. 나물, 김치, 젓갈 등 밑반찬도 함께 올립니다.
- 5열: 과일 및 과자 (조율이시, 홍동백서): 과일과 과자를 놓습니다. 대추, 밤, 배, 감 순서로 놓는 ‘조율이시’와 붉은 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‘홍동백서’의 원칙을 따릅니다.
3. 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은 무엇이 있나요?
차례상에는 조상을 기리는 의미에 맞지 않는 음식은 올리지 않습니다.
- ‘치’ 자로 끝나는 생선 (갈치, 꽁치 등): 비늘이 있거나 털이 있는 생선은 올리지 않습니다.
- 털 있는 과일 (복숭아 등): 털이 있는 과일은 올리지 않습니다.
- 붉은팥: 붉은색은 귀신을 쫓는 색으로 여겨 차례상에는 흰 고물을 사용합니다.
- 향신료가 강한 음식 (고춧가루, 마늘 등): 조상의 혼을 부르는 의식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여겨 사용하지 않습니다.
4. 현대적인 차례상 간소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?
핵가족화, 간소한 생활 방식의 확산으로 인해 현대에는 차례상을 간소하게 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필수 음식만 준비: 떡국, 나물, 생선구이, 과일(3~5가지), 술 정도만 준비하여 간소하게 차릴 수 있습니다.
- 지방 대신 사진 활용: 전통적인 방식의 지방(죽은 사람의 위패 대신 쓰는 종이) 대신 고인의 사진을 놓고 차례를 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.
-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' 차례상 표준안' 발표
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‘차례상 표준안’ 발표
5. 차례 지내는 순서 및 방법
차례는 정해진 순서와 예법에 따라 진행됩니다.
- 강신(降神): 제주(祭主,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)가 향을 피우고 술을 모사 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부어 신이 내리도록 합니다.
- 참신(參神): 차례 참석자 모두 두 번 절합니다.
- 헌주(獻酒): 제주가 차례상 위 잔에 술을 올립니다.
- 삽시정저(揷匙正箸): 떡국과 시접에 수저와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습니다.
- 독축(讀祝) 또는 묵념: 조상을 기리는 축문을 읽거나 묵념합니다.
- 철시복반(撤匙覆飯): 수저를 거두고 떡국 그릇의 뚜껑을 덮습니다.
- 사신(辭神): 차례 참석자 모두 두 번 절합니다.
- 음복(飮福): 차례상에 올렸던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은덕을 기리고 가족의 화합을 다집니다.
6. 설날의 현대적 의미
설날은 단순히 전통을 지키는 날을 넘어 가족 간의 사랑과 유대감을 확인하고, 세대 간 소통을 이어주는 중요한 날입니다. 차례상 간소화 등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전통을 지키면서도 현대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맺음말
설날 차례상차림 차리는 방법, 간소화, 차례 지내는 법 알아보기로 설날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 가족과 함께 따뜻하고 풍요로운 설날 보내세요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양육비 선지급제와 디지털 성범죄 대응까지 다양한 여성가족부 정책 (0) | 2025.01.13 |
---|---|
부가세환급 신청 방법과 빨리 받는 방법 3가지 (0) | 2025.01.13 |
2025년 소상공인, 중소기업 정책자금 신청 방법 및 일정 알아보기 (0) | 2025.01.12 |
2025년 새해 인사말 상황별 문구와 감성 이미지 (0) | 2025.01.10 |
육아휴직 개정, 2025년 급여 최대 250만원 인상, 신청 절차 간소화 (0) | 2025.01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