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고속버스예매 취소 수수료 변경, 개편 내용 총정리

by 슬기로운 생활러 2025. 3. 23.

오는 2025년 5월 1일부터 고속버스 승차권 취소 수수료 기준이 변경됩니다. 주말·명절에는 수수료가 인상되며, 출발 후 취소 수수료도 점진적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.

고속버스를 자주 이용하는 분들은 이번 개편 내용을 꼭 확인하세요.

 


변경되는 고속버스 취소 수수료 기준 (2025.05.01~)

 1. 평일, 주말, 명절별 취소 수수료 차등 적용

 

현재는 평일·주말·명절 모두 동일하게 10%의 취소 수수료가 부과되었지만, 앞으로는 수요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.

🔹 평일(월~목): 기존과 동일하게 10% 유지
🔹 주말(금~일, 공휴일): 15%로 인상
🔹 명절(설·추석): 20%로 인상

 

👉 이유: 주말과 명절에 취소율이 높아 필요한 승객이 표를 구하지 못하는 문제 방지


2. 출발 후 취소 수수료 인상

 

현재 출발 후 취소 수수료는 30%이지만, 단계적으로 인상됩니다.

2025년 5월 1일부터: 50%
2027년까지: 70%로 상향 예정

 

👉 이유: 출발 후에는 빈자리를 다른 승객에게 판매할 수 없어, 재판매 불가에 따른 손실 방지


3. 취소 수수료 부과 시간 변경

 

현재는 출발 1시간 미만~출발 직전에만 최대 수수료(10%)가 부과되었지만, 앞으로는 철도와 동일한 기준으로 변경됩니다.

출발 3시간 미만~출발 직전까지 최대 수수료 부과

 

👉 이유: 직전 취소를 줄이고, 예매 시스템 운영 효율성 증대


변경 이유: 왜 취소 수수료를 올릴까?

1. 노쇼(No-show) 문제 해결

  • 좌석을 예매해놓고 취소 없이 나타나지 않는 승객이 많음
  • 특히, 서울-광주, 서울-거제 등 인기 노선에서 심각한 문제

2. 편법 이용 방지

  • 한 사람이 두 개 좌석을 예약하고 출발 직후 한 좌석만 취소하는 경우 발생 → 두 자리 독점 문제

3. 실시간 취소표 확인이 어려운 고령자 보호

  • 모바일 예매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가 취소표를 확인하고 예매하는 것이 어려운 현실

국토부의 입장 & 향후 계획

 

🔹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:
"이번 개편은 한정된 고속버스 좌석을 다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자는 취지입니다. 다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증가할 수도 있어, 예약과 출발 안내 체계를 점검하고 개선해 나가겠습니다."

 

🔹 향후 시외버스도 개선 추진

  • 국토부는 각 도(道)에도 시외버스 취소 수수료 기준 개선을 권고할 계획

이용자들이 알아야 할 점!

 

고속버스 예매 후 변경이 어려워지므로, 신중한 예약 필요
출발 3시간 전에 미리 취소해야 수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음
주말·명절 예매는 더 신중하게! (취소 수수료가 더 높아짐)


결론

 

이번 취소 수수료 개편으로 인해 무분별한 예약 및 취소가 줄어들고, 더 많은 사람들이 좌석을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하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수수료 부담이 늘어나므로, 예약할 때 더욱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겠죠!